시험수준 | 영역 | 문제유형 | 문항수 |
---|---|---|---|
TOPIKⅠ | 듣기 | 선택형(4지선다형) | 30 |
읽기 | 선택형(4지선다형) | 40 | |
TOPIKⅡ | 듣기 | 선택형(4지선다형) | 50 |
쓰기 | 서답형 | 4 (단답 2문항 + 작문 2문항) |
|
읽기 | 선택형(4지선다형) | 50 |
시험수준 | 영역 | 문제유형 | 시험시간 |
---|---|---|---|
TOPIKⅠ | 1교시 | 듣기, 읽기 | 10:00~11:40 (100분) |
TOPIKⅡ | 1교시 | 듣기, 쓰기 | 13:00~14:50 (110분) |
2교시 | 읽기 | 15:20~16:30 (70분) |
구분 | TOPIKⅠ | TOPIKⅡ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급 | 2급 | 3급 | 4급 | 5급 | 6급 | |||
등급결정 | 80~139 | 140~200 | 120~149 | 150~189 | 190~229 | 230~300 |
시험수준 | 등급 | 평가기준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TOPIKⅠ | 1급 | 자기 소개하기, 물건 사기, 음식 주문하기 등 생존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, 가족, 취미, 날씨 등 매우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에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.
약 800개의 기초 어휘와 기본 문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단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. 또한 간단한 생활문과 실용문을 이해하고, 구성할 수 있다. |
|||
2급 | 전화하기, 부탁하기 등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우체국, 은행 등의 공공시설 이용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.
약 1,500~2,000개의 어휘를 이용하여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에 관해 문단 단위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에서의 언어를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. |
||||
TOPIKⅡ | 3급 |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으며 다양한 공공시설의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기초적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.
친숙하고 구체적인 소재는 물론, 자신에게 친숙한 사회적 소재를 문단 단위로 표현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. 문어와 구어의 기본적인 특성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|
|||
4급 | 공공시설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, 일반적인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. 또한 뉴스, 신문 기사 중 비교적 평이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. 일반적인 사회적 · 추상적 소재를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
자주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과 대표적인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 · 문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|
||||
5급 |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소재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
공식적 · 비공식적 맥락과 구어적 · 문어적 맥락에 따라 언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. |
||||
6급 |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주제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
원어민 화자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나 기능 수행이나 의미 표현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. |